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 Distance - Vector 프로토콜 또는 벨만 포드 알고리즘 이라고도 불린다.라우팅 테이블을 주변 노드와만 교환한다. 여기서 Metric은 각 링크 비용의 합이다. 다른 경우엔 홉수로 메트릭을 판단하기도 한다. 주기적으로 각 노드들은 자신의 테이블을 주변 노드와 교환한다. 라우팅 테이블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stable한 상태라고 한다. 상태 변화가 일어났을때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테이블을 주변 노드와 교환 해야한다. 예를 들어 B와 C사이의 링크 코스트가 1로 바뀐 경우 업데이트가 일어난다. 각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할때는 넥스트홉에 대한 정보는 제외한 테이블 정보만을 주고 받는다. (목적지,코스트) B->C에게 라우팅 테이블 전송A 1 이라는 정보 포함..
일반적으로 ad hoc network는 multi hop ad hoc network를 지칭한다.wireless에서만 ad hoc network라고 부른다. 유선에서는 ad hoc이라고 하지 않는다.인프라 존재 하지 않음. 사용자 끼리 서로 도와서 네트워크 구성 mobile ad hoc network -> ad hoc net에서 사용자들이 이동함. ad hoc network에서는 이용자들이 계속 변해서 라우팅 문제가 어려운 문제이다. 무선으로 모든 노드를 연결하다 보니까 통신 품질이 떨어질수 있음. 지금은 무선 ad hoc net에서 라우팅 문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져서 어려운 문제는 아니게 되었다. 기존의 유선 라우팅 프로토콜이 무선에서 적합하지 않은 이유 Distance Vector - 주변 노드와 ..
RNS의 집합을 UTRAN이라고 부른다.UTRAN은 core network라고 불리는 것과 연결 되어 있고 CN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와도 연결 된다. Node B에서는 어떤 동작을 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역할만을 한다. UTRAN의 경우 GSM의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끔 했다고 했다. 위의 그림은 GSM은 기본적으로 Circuit Switching 방식이므로 ip에 부적합하다.따라서 Packet Switching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서 GPRS라는게 존재 했었고 RNS에서 CN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 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이동하면 iP주소가 변하게 된다.변화하는 IP주소를 이용해서 이동성 처리를 한다. 사용자가 어디로 이동했건..
앞 포스팅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3세대 무선 통신 표준은 IMT-DS or UTRA FDD or W-CDMA라고 불리는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w-cdma기술은 원래 UMTS라는 기술 표준의 일부였었다. w-cdma기법을 사용할때 단말기가 보내는 데이터를 spreading code로 데이터를 암호화(구분하기 위해서)하고 그 암호화된 데이터들을 scrambling code로 한번더 암호화 하게 된다 이 스크램블링 코드를 통해서 사용자들을 구분한다. 그 중에서 orthogonal한 특성을 갖는 스프레딩 코드를 만들어 내는 방법인 OSVF코딩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0,1,1을 보내려고 하는 경우 SF가 1일때 1과 곱해져서 최종적으로 1,0,1,1이 그대로 보내지며 3.84Mbps속도를 갖는다...
라2세대는 다양한 표준들이 존재했다. 3세대 이동 세대 시스템으로 넘어오면서 단일 표준으로 만들어 보자는 시도가 있었다. 여러 관계자들로부터 표준 제안서를 받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GSM기반이 아닌 CSMA기반이었다. 서로 다른 나라에서 서로 다른 표준때문에 호환되지 않은것들을 통합하고자 했던것이 IMT-2000이라는 단체이다. 이동전화 단체들의 모임이다. GSM에 기반한 ANSI라고 하는 미국 표준 제정화 기구에서 GSM의 발전된 형태인 UMTS를 제안했다. 결국엔 여러 단일화된 표준을 만들지 못하고 6가지 규약이 3세대 표준으로 만들어 졌다. 이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3세대 이동전화 시스템이다 라고 iMT-2000에서 인정해주기로 했다.이해 관계자들의 이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6개의 표준으로 만들..
Push-To-Talk” feature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짐. Trunked -> 주파수를 모아놓고 필요할때마다 주파수를 그때그때 할당한다는 의미 테트라의 부가적인 기능서울에 있는 사람이 부산에 있는 사람에게 신호를 보내려면 기지국이 필요함(인프라스트럭쳐) 다이렉트 모드 : 일대일통신 일대다 통신 가능함,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의 도움 없이 무전기 끼리 직접 통신 직접통신하다가 네트워크 통신 할 수 있음. Repeater 인프라를 통해서 멀리있는 사용자와 통신하고 싶은데 그 인프라와 직접 연결이 안될때 중간의 어떤 다른 사용자의 도움을 받아서 네트워크에 연결 해주는것 신호를 그대로 반복 재생하는 기능을 하다.일부만 네트워크와 연결 되어있다. 이 사용자와 연결 되어..
Frequency Multiplex단점 1. 주파수를 고정적으로 나눠줬을때 어떤 사용자는 그 주파수 대역을 잘 사용하지 않을수 있기 때문에 낭비가 발생할수 있음.단점 2. 가드 스페이스가 필요함.단점 3. 어떤 사용자에게는 채널의 상태가 좋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나눠줄수 있음.(공평하지 않다) Time multiplex장점 1. 모든 사용자들이 공평하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채널이 좋으면 다같이 좋고 나쁘면 다같이 나쁘다)장점 2. 중심 주파수 1개만 있으면 된다. 단점 1. 사용자들끼리 시간 동기화가 어렵다(요즘엔 쉬워짐)단점 2. 마찬가지로 가드스페이스 필요(1초나눠주고 0.5초쉬고) Time and frequency Multiplex ( TM+FM)-> GSM에서 사용 하는 방법이다. 장점 1...
Transmission range : 통신이 실제로 가능한 범위이다.Detection range : 신호가 있는걸 인지할 수 있지만 직접적인 통신은 불가능한 영역Interference range : 신호가 매우 약해져서 다른 노이즈에 섞여 없어져 버린다. 마찬가지로 통신 불가능 Diversity : 여러개의 수신 안테나로 부터 수신한 신호들 중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신호를 선택하거나 여러 신호를 합쳐서 좋은 품질을 만들어 내는 안테나 기법. spread spectrum 기법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사용 이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CDM과는 그 사용 이유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시오.Narrow band 대역폭에서는 잡음이 컸을때 신호가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대역폭을 크게 늘려서 데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useEffect
- reducer
- type alias
- atomic design
- storybook
- reactdom
- reflow
- Babel
- computed
- promise
- es6
- Action
- Next.js
- webpack
- hydrate
- await
- design system
- props
- typescript
- Polyfill
- rendering scope
- async
- state
- mobx
- useRef
- server side rendering
- react hooks
- javascript
- return type
- rea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